본문 바로가기
위즈돔 알쓸신잡

한눈에 살펴보는 K-pass(전국, 경기, 인천)와 기후동행카드!

by wizdome 2024. 6. 14.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이번에 나온 K-pass와 기후동행카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기존에 있었던 알뜰교통카드가 폐지되고 5월 1일부터 K-pass로 전환되었어요.

기존에 있던

기후동행카드, 알뜰교통카드(폐지)

새롭게 나온

K-pass

The 경기패스

인천I-패스

까지 총 4개의 카드가 있는데요.

헷갈리는 내용들이 많아서

교통정리를 위해 제가 왔습니다!

하나씩 살펴보고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기후동행카드
24년 1월 23일부 출시

 

우선 기존에 있었던 기후동행카드에 대해 알아볼까요?

 

기후동행카드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으로

실물 카드: 3000원

모바일 카드: 무료

로 발급받을 수 있어요.

이용하는 범위에 따라 금액이 2가지로 나누어지는데요.

버스 · 지하철: 62,000원

버스 · 지하철 · 따릉이: 65,000원

 

여기에 청년 혜택을 받게 되면

※ 만 19세 ~ 34세 청년(24년 기준 89년생 ~ 05년생)

버스 · 지하철: 55,000원

버스 · 지하철 · 따릉이: 58,000원

으로 약 7,000원 정도 더 싸게 이용이 가능해요.

다만, 기후동행카드는 서울권역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꼭 이용 가능 노선과 역을 확인하셔야 해요!

↓         ↓         ↓         ↓         ↓         ↓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범위 검색

기후동행카드 서비스범위 검색

news.seoul.go.kr

알뜰교통카드
24년 4월 30일까지 시행 후 K-PASS로 전환됨

 

다음은 K-pass로 없어진 알뜰교통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우리은행)

 

알뜰교통카드는

알뜰교통카드앱을 이용해서

출발지 - 도보/자전거 이동거리 - 대중교통탑승 - 도보/자전거 이동거리 - 목적지

도보/자전거 이동거리에 따라 대중교통의 운임 일부를 마일리지로 적립해 주었어요.

 

알뜰 교통카드의 불편함은

매번 출발지, 도착지를 눌러야만

할인을 받을 수 있었고

유동적인 이용에 있어서는 불편함이 많았죠

할인에 있어서도

최소 800M 이상 이동해야 20% 할인에

카드사 할인이 10%였는데

실질적으로 카드사 할인은 실적을 채워야 해서

교통카드로만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어려움이 있었죠.

 

K-PASS
24년 5월 1일부로 시행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오늘의 주인공!

K-pass입니다.

z

K-pass는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라면 바로 전환이 가능하고

K-pass 신규 이용자라면 발급을 받아야 합니다.

 

K-pass는 버스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이용시마다 적립되는 교통 할인 지원 제도에요.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신분당선, 광역버스, GTX 등)에 적용됩니다.

신분당선(왼) / 광역직행버스(중) / GTX-A(좌)

 

적립은

일반: 20% 적립

청년: 만 19 ~ 34세 30% 적립

저소득: 53% 적립

대중교통 이용 월 15회 이상! 최대 60회까지 적립되고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돼요.

The경기패스와 I인천패스는 위의 적립 회차에서 K-pass와 차이점을 보이는데요

 

The 경기패스
주소지가 경기도인 만 19세 이상 도민

 

The 경기패스는 기본적인 교통비 지원은 K-pass와 동일합니다.

다만 주소지가 경기도가 아닌 사람들은 신청할 수 없죠.

K-pass의 경우 월 15회 - 60회까지였다면,

The경기패스는 월 15회 이상이면 무제한으로 지원됩니다.

더군다나 청년의 나이도 K-pass는 34세까지였다면,

경기패스는 39세까지 추가 지급되죠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K-pass The 경기패스
할인율
일반: 20%
청년: 30%(19세 - 34세)
저소득층: 53%
일반: 20%(6-18세 어린이 청소년 지원)
청년: 30%(19세 - 39세)
저소득층: 53%
횟수
최소 월 15회 이상 - 60회 미만
60회 초과 시, 이용금액 높은 순으로 60회 지급
월 이용 20만 원 초과 시, 초과 금액은 50%만 지급
최소 월 15회 이상 이용자
15회 이상부터는 무제한으로 지급

 

인천 I-패스
주소지가 인천광역시인 만 19세 이상 시민

 

 

인천I-패스도 K-패스 기반으로 지원 범위와 혜택을 넓혀 추진됩니다.

주소지가 인천광역시인 사람들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기패스와 동일하게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무제한으로 지원됩니다.

다만 지원하는 연령층이 바뀌는데요.

일반: 20%

청년: 30%(19세 ~ 39세)

어르신: 30%(65세 이상)

저소득층: 53%

어르신들에게 교통비 지원이 된다는 점이 포인트네요!

 

  K-pass The 경기패스 인천패스
할인율
일반: 20%
청년: 30%(19세 - 34세)
저소득층: 53%
일반: 20%(6-18세 지원)
청년: 30%(19세 - 39세)
저소득층: 53%
일반: 20%
청년: 30%(19세 - 39세)
어르신: 30%(65세 이상)
저소득층: 53%
횟수
최소 월 15회 이상 - 60회 미만
60회 초과 시, 이용금액 높은 순으로 60회 지급
월 이용 20만 원 초과 시, 초과 금액은 50%만 지급
최소 월 15회 이상 이용자
15회 이상부터는 무제한으로 지급
최소 월 15회 이상 이용자
15회 이상부터는 무제한으로 지급

 

K-PASS vs 기후동행카드
그래서 뭐가 더 유리한데?

 

금액을 살펴보면 어떤 것이 더 유리한 지 알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K-pass는 전국! 기후동행카드는 서울권역! 만 가능하니 참고해 주세요

출처: 나무위키 기후동행카드

 

여기에서 횟수는 저것보다 더 많이 타야 K-pass보다 이득이라는 뜻입니다.

기본 1400원으로 대중교통 탑승하시는 분들은 56회 이상은 탑승해야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다는 뜻이죠

출퇴근 입장에서는 평일 5일 왕복 40회가 고정이고

주말에 16회 정도 이용한다고 하면

이해가 되실 것 같아요

1400원을 56회 탑승하면 78,400원입니다.

청년 기준으로 이용하면 금액이 더 줄어드니까 참고해 주세요.

 

MiRi에서도 사용 가능한 K-PASS
기후동행카드는 등록이 안됩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바로

MiRi에 교통카드 등록이 가능하다는 점이에요!

MIRi는 광역버스 좌석 예약 서비스로

많은 사람들이 예약해서 버스를 타는 서비스를 제공하죠

 

광역버스 지원이 되지 않은 기후동행카드를 제외하고

나머지 카드들은 모두 MiRi에 등록 가능하다는 것 아셨나요??

모두 편하게 등록하고 예약하셔서

더욱 현명한 소비, 교통을 이용하세요 :)

MiRi에 교통카드 등록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MiRi] 교통카드의 모든것

안녕하세요 위즈돔입니다!저번 포스팅 올렸던 MiRi앱 이용방법 모두 보고 오셨나요?못 보고 오신 분들은 여기 먼저 읽어주세용😉↓        ↓          ↓          ↓          ↓        

wizdome.tistory.com


 

오늘은

기후동행카드

K-pass

에 대해서 비교하며 상세하게 알아보았는데요.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가 되었으면 하네요!

다음에는 더욱 재미있는 소식으로 돌아올게요